태풍 사우델로르 (2015년)

태풍 사우델로르
맹렬한 태풍 (JMA 계급)
5등급 슈퍼 태풍 (SSHWS)
태풍 사우델로르 (8월 4일)
발생일2015년 7월 30일
소멸일2015년 8월 10일
최대 풍속10분 평균 풍속: 220 km/h (140 mph)
1분 평균 풍속: 285 km/h (180 mph)
10분 평균 풍속: 105 km/h (65 mph) (KMA 기준)
최저 기압900 hPa (mbar); 26.58 inHg
최대 크기1150km (직경)
영향 지역대만, 중국, 대한민국

태풍 사우델로르 (SOUDELOR)는 2015년에 발생한 태풍 제13호이다. 사우델로르는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폰페이섬(Pohnpei)을 지배한 전설적인 사우델로르 왕조의 추장을 뜻한다. 섬 이름은 현지어로 "돌로 만든 제단(pehi) 위(pohn)"를 뜻한다. 이 태풍은 대만중국에 피해를 남겨 '사우델'로 제명되었다.

개요

태풍 사우델로르 의 진행

2015년 제13호 태풍 사우델로르(SOUDELOR)는 7월 30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, 최대풍속 18m/s, 강풍 반경 220km(북쪽 반경), 크기 '소형'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1,5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.(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) 발생 이후 서~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사이판섬8월 3일 0시에 중심기압 955hPa, 최대풍속 39m/s(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)의 세력으로 관통하였다. 사이판섬 관통 이후에도 계속 서북서진하며 발달해서 8월 4일 오전 3시에 미국 북서쪽 약 6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00hPa, 최대풍속 59m/s, 강풍 반경 390km(북쪽 반경)의 세력 '맹렬함', 크기 '중형'(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)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. 최성기 이후 열용량이 낮은 곳을 지나면서 조금 약화되었다가 대만 동쪽 해상이 열용량이 높아 재발달했고, 재발달한 세력인 중심기압 930hPa, 최대풍속 49m/s(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)의 세력으로 8월 8일 오전 5시 40분경 대만 화롄시 부근 육상에 상륙하였다. 대만 관통 뒤 약화된 세력인 중심기압 970hPa, 최대풍속 36m/s(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)의 세력으로 중화인민공화국 푸저우 부근 육상에 상륙하였고, 중국 대륙 상륙 이후 급약화되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9일 오후 9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남서쪽 약 62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(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0일 오전 3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서남서쪽 약 5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).

피해

같이 보기

  • 태풍 오마르
  • 태풍 위니 (1997년)
  • 태풍 하이탕 (2005년)
  • 태풍 모라꼿 (2009년)
  • 태풍 하이옌 (2013년)
  • 태풍 돌핀 (2015년)
  • 태풍 네파탁 (2016년)
  • v
  • t
  • e
2011 | 2012 | 2013 | 2014 | 2015 | 2016 | 2017 | 2018 | 2019
태풍 이름
  • v
  • t
  • e
폐기된 태풍 이름(2000년 이후)
2000년대
2001년
2002년
2003년
2004년
2005년
2006년
  • 짠쯔 (CHANCHU)
  • 빌리스 (BILIS)
  • 사오마이 (SAOMAI)
  • 상산 (XANGSANE)
  • 두리안 (DURIAN)
2009년
  • 모라꼿 (MORAKOT)
  • 켓사나 (KETSANA)
  • 파마 (PARMA)
2010년대
2010년
2011년
  • 와시 (WASHI)
2012년
  • 보파 (BOPHA)
  • 비센티 (VICENTE)
2013년
  • 우토르 (UTOR)
  • 피토 (FITOW)
  • 하이옌 (HAIYAN)
  • 소나무 (SONAMU)
2014년
  • 람마순 (RAMMASUN)
2015년
  • 사우델로르 (SOUDELOR)
  • 무지개 (MUJIGAE)
  • 곳푸 (KOPPU)
  • 멜로르 (MELOR)
2016년
  • 므란티 (MERANTI)
  • 사리카 (SARIKA)
  • 하이마 (HAIMA)
  • 녹텐 (NOK-TEN)
2017년
2018년
  • 태풍 룸비아 (2018년)
  • 태풍 망쿳 (2018년)
  • 태풍 위투 (2018년)
2019년
  • 태풍 파사이 (2019년)
  • 태풍 하기비스 (2019년)
  • 태풍 간무리 (2019년)
  • 태풍 판폰 (2019년)
2020년대
2020년
  • 태풍 봉퐁 (2020년)
  • 태풍 린파 (2020년)
  • 태풍 몰라베 (2020년)
  • 태풍 고니 (2020년)
  • 태풍 밤꼬 (2020년)
  • 태풍 꼰선 (2021년)
  • 태풍 곤파스 (2021년)
  • 태풍 라이 (2021년)
  • 태풍 말라카스 (2022년)
  • 태풍 메기 (2022년)
  • 태풍 망온 (2022년)
  • 태풍 힌남노 (2022년)
  • 태풍 노루 (2022년)
  • 태풍 날개 (2022년)
  • 태풍 독수리 (2023년)
  • 태풍 사올라 (2023년)
  • 태풍 하이쿠이 (2023년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