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DM 형식

아노윗-데세르-미스너 수식 체계(Arnowitt-Deser-Misner數式體系, 영어: Arnowitt–Deser–Misner formalism, 약자 ADM 수식 체계)는 일반 상대성 이론해밀턴 역학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.[1][2][3][4][5][6] 시공간에 공간적 엽층을 준 뒤, 엽층의 각 잎의 (시공의 부분 다양체로서) 유도된 계량 텐서에 대하여 일반화 운동량을 정의한다. 잎의 계량 텐서 및 그 운동량에 포함되지 않는 (질량 껍질 밖) 자유도는 라그랑주 승수 꼴로 나타나, 이론에 제약을 준다.

전개

그리스 문자 첨자 μ , ν , = 0 , 1 , , D {\displaystyle \mu ,\nu ,\dots =0,1,\dots ,D} D + 1 {\displaystyle D+1} 차원 시공간을, 로마자 첨자 i , j , = 1 , , D {\displaystyle i,j,\dots =1,\dots ,D} D {\displaystyle D} 차원 공간만을 나타낸다. 여기서는 −+++ 계량 부호수를 쓴다. 편의상 c = 1 {\displaystyle c=1} 로 놓자.

계량 텐서의 분해

D + 1 {\displaystyle D+1} 차원에서, 일반 상대성 이론의 동적 변수는 대칭 텐서인 계량 텐서 g μ ν ( D + 1 ) {\displaystyle g_{\mu \nu }^{(D+1)}} ( D + 1 ) ( D + 2 ) / 2 {\displaystyle (D+1)(D+2)/2} 개의 성분들이다. 그러나 일반 상대성 이론은 임의의 미분 동형 사상게이지 대칭으로 가지며, 이는 (국소적으로) x μ x μ + δ x μ {\displaystyle x^{\mu }\mapsto x^{\mu }+\delta x^{\mu }} 와 같은 꼴이므로, g μ ν ( D + 1 ) {\displaystyle g_{\mu \nu }^{(D+1)}} 의 성분 가운데 D + 1 {\displaystyle D+1} 개는 게이지 변환을 통해 흡수될 수 있으며, 따라서 실제 동적인 장들은 그 가운데

1 2 ( D + 1 ) ( D + 2 ) ( D + 1 ) = 1 2 D ( D + 1 ) {\displaystyle {\frac {1}{2}}(D+1)(D+2)-(D+1)={\frac {1}{2}}D(D+1)}

개이다. 즉, 계량 텐서를 다음과 같은 꼴로 표시할 수 있다.[2]:(3.9a), (3.10), (3.11a), (3.11b)

g μ ν ( D + 1 ) = ( g i j N i N j N 2 N i N i g i j ) {\displaystyle g_{\mu \nu }^{(D+1)}={\begin{pmatrix}g^{ij}N_{i}N_{j}-N^{2}&N_{i}\\N_{i}&g_{ij}\end{pmatrix}}}
g ( D + 1 ) μ ν = ( 1 / N 2 g i j N j N 2 g i j N j / N 2 g i j g i m g j n N m N n / N 2 ) {\displaystyle g_{(D+1)}^{\mu \nu }={\begin{pmatrix}-1/N^{2}&g^{ij}N_{j}N^{2}\\g^{ij}N_{j}/N^{2}&g^{ij}-g^{im}g^{jn}N_{m}N_{n}/N^{2}\end{pmatrix}}}

여기서 보조장 N {\displaystyle N} ( N i ) i = 1 , , D {\displaystyle (N_{i})_{i=1,\dots ,D}} 는 각각 경과장(經過場, 영어: lapse 랩스[*]) 및 이동장(移動場, 영어: shift 시프트[*])이라고 불린다. ( g i j ) i , j = 1 , , D ) {\displaystyle (g^{ij})_{i,j=1,\dots ,D})} ( g i j ) i , j = 1 , , D {\displaystyle (g_{ij})_{i,j=1,\dots ,D}} 역행렬이다(특히, ( g μ ν ( D + 1 ) ) μ , ν = 0 , , D ) {\displaystyle (g_{\mu \nu }^{(D+1)})_{\mu ,\nu =0,\dots ,D})} 의 역행렬의 성분이 아니다). g ( D + 1 ) 0 , 0 {\displaystyle g_{(D+1)}^{0,0}} ( g μ ν ( D + 1 ) ) μ , ν = 0 , , D {\displaystyle (g_{\mu \nu }^{(D+1)})_{\mu ,\nu =0,\dots ,D}} 의 역행렬의 한 성분이다.

이 경우, D + 1 {\displaystyle D+1} 차원 계량 텐서의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.[2]:(3.12)

det ( g μ ν ) = N 2 det ( g i j ) {\displaystyle -\det(g_{\mu \nu })=N^{2}\det(g_{ij})}

즉, 경과장 N {\displaystyle N} D + 1 {\displaystyle D+1} 차원 계량으로 측정한 D + 1 {\displaystyle D+1} 차원 초부피 원소(야코비 행렬식)와 D {\displaystyle D} 차원 계량으로 측정한 D {\displaystyle D} 차원 부피 원소(야코비 행렬식)의 비이다.

이러한 분해는 전자기 퍼텐셜 A μ = ( A 0 , A i ) {\displaystyle A_{\mu }=(A_{0},A_{i})} 의 분해와 마찬가지다. 전자기학에서 A 0 {\displaystyle A_{0}} 가 게이지 변환에 의하여 라그랑주 승수 보조장이 되는 것처럼, N {\displaystyle N} N i {\displaystyle N_{i}} 역시 마찬가지 역할을 한다.

운동량과 작용

일반 상대성 이론아인슈타인-힐베르트 작용으로 나타낼 수 있다.

16 π G L = det ( g μ ν ( D + 1 ) ) R ( D + 1 ) {\displaystyle 16\pi G{\mathcal {L}}={\sqrt {-\det(g_{\mu \nu }^{(D+1)})}}R^{(D+1)}}

여기서 g μ ν {\displaystyle g_{\mu \nu }} 계량 텐서, R ( D + 1 ) {\displaystyle R^{(D+1)}} g μ ν ( D + 1 ) {\displaystyle g_{\mu \nu }^{(D+1)}} 로 계산한 리치 스칼라다.

이제 편의상 D + 1 = 3 + 1 {\displaystyle D+1=3+1} 인 경우만을 생각하자. g i j {\displaystyle g_{ij}} 에 대한 일반화 운동량 π i j {\displaystyle \pi ^{ij}} 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.

π i j = δ L δ ( g ˙ i j ) = 1 16 π G det g μ ν ( Γ p q 0 g p q Γ r s 0 g r s ) g i p g j q {\displaystyle \pi ^{ij}={\frac {\delta {\mathcal {L}}}{\delta ({\dot {g}}_{ij})}}={\frac {1}{16\pi G}}{\sqrt {-\det g_{\mu \nu }}}\left(\Gamma _{pq}^{0}-g_{pq}\Gamma _{rs}^{0}g^{rs}\right)g^{ip}g^{jq}}

g i j {\displaystyle g_{ij}} 에 대하여 해밀토니언을 정의하자. 그렇다면 작용은 다음과 같다.

16 π G L = g i j π ˙ i j N H N i P i + i ( ) i {\displaystyle 16\pi G{\mathcal {L}}=-g_{ij}{\dot {\pi }}^{ij}-NH-N_{i}P^{i}+\partial _{i}(\cdots )^{i}}

여기서

H = 1 16 π G det g i j ( R + 1 det g i j ( 1 2 ( det π i j ) 2 π i j π i j ) ) {\displaystyle H=-{\frac {1}{16\pi G}}{\sqrt {-\det g_{ij}}}\left(R+{\frac {1}{\det g_{ij}}}\left({\frac {1}{2}}(\det \pi ^{ij})^{2}-\pi ^{ij}\pi _{ij}\right)\right)}
P i = 1 8 π G j π i j {\displaystyle P^{i}=-{\frac {1}{8\pi G}}\nabla _{j}\pi ^{ij}}

이다. 즉 N {\displaystyle N} N i {\displaystyle N_{i}} 라그랑주 승수가 되며, 그 운동 방정식에 따라 H = P i = 0 {\displaystyle H=P^{i}=0} 이다.

성질

운동 방정식

g i j {\displaystyle g_{ij}} π i j {\displaystyle \pi ^{ij}} 에 대한 오일러-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.

g ˙ i j = 2 N g 1 / 2 ( π i j 1 2 π g i j ) + 2 ( i ; j ) {\displaystyle {\dot {g}}_{ij}=2Ng^{-1/2}\left(\pi _{ij}-{\frac {1}{2}}\pi g_{ij}\right)+2\nabla _{(i;j)}}
π ˙ i j = N det ( g i j ) ( R i j 1 2 R g i j ) + 1 2 N ( det ( g i j ) ) 1 / 2 g i j ( π m n π m n 1 2 π 2 ) 2 N g 1 / 2 ( π i n π n j 1 2 π π i j ) {\displaystyle {\dot {\pi }}^{ij}=-N{\sqrt {\det(g_{ij})}}(R^{ij}-{\frac {1}{2}}Rg^{ij})+{\frac {1}{2}}N(\det(g_{ij}))^{-1/2}g^{ij}(\pi ^{mn}\pi _{mn}-{\frac {1}{2}}\pi ^{2})-2Ng^{-1/2}(\pi ^{in}\pi _{n}{}^{j}-{\frac {1}{2}}\pi \pi ^{ij})}
det ( g i j ) ( i j N g i j 2 N ) + n ( π i j N n ) 2 π n ( i n N j ) {\displaystyle -{\sqrt {\det(g_{ij})}}(\nabla ^{i}\nabla ^{j}N-g^{ij}\nabla ^{2}N)+\nabla _{n}(\pi ^{ij}N^{n})-2\pi ^{n(i}\nabla _{n}N^{j)}}

보조장들에 대한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.

H = 0 {\displaystyle H=0}
P i = 0 {\displaystyle P^{i}=0}

이들은 위상 공간의 제약을 나타내며, 전자기장의 가우스 법칙 제약과 유사하다. 보조장 N {\displaystyle N} N i {\displaystyle N_{i}} 자체는 임의로 값을 줄 수 있다. 이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미분 동형 사상 대칭이 게이지 대칭이기 때문이다.

위상 공간

일반적으로, d + 1 {\displaystyle d+1} 차원 시공간 Σ × R {\displaystyle \Sigma \times \mathbb {R} } 에서, ADM 수식 체계에 의한, 일반 상대성 이론의 위상 공간은 Σ {\displaystyle \Sigma } 위의 매끄러운 올다발매끄러운 단면의 공간이다. 이 올다발의 올의 차원은 ( d + 1 ) ( d 2 ) {\displaystyle (d+1)(d-2)} 이다.[7]:§2 이는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.

설명 성분
계량 텐서 g i j {\displaystyle g_{ij}} 및 그 일반화 운동량 d ( d + 1 ) {\displaystyle d(d+1)}
에너지 제약 H = 0 {\displaystyle H=0} 및 그 게이지 조건 −2
운동량 제약 P i = 0 {\displaystyle P^{i}=0} 및 그 게이지 조건 2 d {\displaystyle -2d}
d ( d + 1 ) 2 2 d = d 2 d 2 = ( d + 1 ) ( d 2 ) {\displaystyle d(d+1)-2-2d=d^{2}-d-2=(d+1)(d-2)}

역사

아노윗 (左) · 데세르 (中) · 미스너 (右). 2009년 사진

리처드 루이스 아노윗(영어: Richard Lewis Arnowitt, 1928~2014) · 스탠리 데세르(폴란드어: Stanley Deser, 1931~) · 찰스 미스너(영어: Charles W. Misner, 1932~)가 1959년~1961년에 도입하였다.[8][9][10][11][12][13][14][15][16][17]

같이 보기

각주

  1. Deser, Stanley (2008). “Arnowitt–Deser–Misner formalism”. 《Scholarpedia》 (영어) 3 (10): 7533. doi:10.4249/scholarpedia.7533. ISSN 1941-6016. 
  2. Arnowitt, Richard; Stanley Deser, Charles W. Misner (2008년 9월). “Republication of: The dynamics of general relativity”. 《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》 (영어) 40 (9): 1997–2027. arXiv:gr-qc/0405109. Bibcode:2008GReGr..40.1997A. doi:10.1007/s10714-008-0661-1. ISSN 0001-7701. 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(도움말)
  3. Франке, Валентин Альфредович (2006). “Разные канонические формулировки теории гравитации Эйнштейна”. 《Теоретическая и Математическая Физика》 (러시아어) 148 (1): 143–160. doi:10.4213/tmf2065. ISSN 0564-6162. MR 2283655.  영역 Franke, Valentin Alfredovich (2006년 7월). “Different canonical formulations of Einstein’s theory of gravity”. 《Theoretical and Mathematical Physics》 (영어) 148 (1): 995–1010. arXiv:0710.4953. Bibcode:2006TMP...148..995F. doi:10.1007/s11232-006-0096-3. ISSN 0040-5779. Zbl 1177.83021. 
  4. Peldán, Peter (1994년 5월). “Actions for gravity, with generalizations: a review”. 《Classical and Quantum Gravity》 (영어) 11 (5): 1087–1132. arXiv:gr-qc/9305011. Bibcode:1994CQGra..11.1087P. doi:10.1088/0264-9381/11/5/003. ISSN 0264-9381. 
  5. Nelson, J. E. (2006). 〈Some applications of the ADM formalism〉. Liu, James T.; Duff, Michael J.; Stelle, Kellogg S.; Woodard, Richard P. 《Deserfest: a celebration of the life and works of Stanley Deser》 (영어). World Scientific. 193–206쪽. arXiv:gr-qc/0408083. Bibcode:2004gr.qc.....8083N. ISBN 981-256-082-3. 
  6. Dengiz, Suat (2011). 《3+1 orthogonal and conformal decomposition of the Einstein equation and the ADM formalism for general relativity》 (영어). 석사 학위 논문. 중동 공과대학교. arXiv:1103.1220. Bibcode:2011arXiv1103.1220D. 
  7. Berman; Perry. “Generalized geometry and M theory” (영어). arXiv:1008.1763. 
  8. Pullin, Jorge (2008년 9월). “Editorial note to R. Arnowitt, S. Deser, C. W. Misner, “The dynamics of general relativity””. 《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》 (영어) 40 (9): 1989–1995. Bibcode:2008GReGr..40.1989P. doi:10.1007/s10714-008-0649-x. ISSN 0001-7701. 
  9. Arnowitt, R.; Deser, Stanley (1959). “Quantum theory of gravitation: general formulation and linearized theory”. 《Physical Review》 113 (2): 745–750. Bibcode:1959PhRv..113..745A. doi:10.1103/PhysRev.113.745. 
  10. Arnowitt, R. L.; Deser, Stanley; Misner, C. (1959). “Dynamical structure and definition of energy in general relativity”. 《Physical Review》 (영어) 116 (5): 1322–1330. 
  11. Arnowitt, R.; Deser, Stanley; Misner, Charles (1960). “Canonical variables for general relativity”. 《Physical Review》 (영어) 117 (6): 1595–1602. Bibcode:1960PhRv..117.1595A. doi:10.1103/PhysRev.117.1595. 
  12. Arnowitt, R.; Deser, Stanley; Misner, Charles (1960). “Finite self-energy of classical point particles”. 《Physical Review Letters》 (영어) 4 (7): 375–377. Bibcode:1960PhRvL...4..375A. doi:10.1103/PhysRevLett.4.375. 
  13. Arnowitt, R.; Deser, Stanley; Misner, Charles (1960). “Energy and the criteria for radiation in general relativity”. 《Physical Review》 (영어) 118 (4): 1100–1104. Bibcode:1960PhRv..118.1100A. doi:10.1103/PhysRev.118.1100. 
  14. Arnowitt, R.; Deser, Stanley; Misner, Charles (1960). “Gravitational–electromagnetic coupling and the classical self-energy problem”. 《Physical Review》 (영어) 120: 313–320. Bibcode:1960PhRv..120..313A. doi:10.1103/PhysRev.120.313. 
  15. Arnowitt, R.; Deser, Stanley; Misner, Charles (1960). “Interior Schwarzschild solutions and interpretation of Source Terms”. 《Physical Review》 (영어) 120: 321–324. Bibcode:1960PhRv..120..321A. doi:10.1103/PhysRev.120.321. 
  16. Arnowitt, R. L.; Deser, Stanley; Misner, Charles (1961). “Wave zone in general relativity”. 《Physical Review》 (영어) 121 (5): 1556–1566. Bibcode:1961PhRv..121.1556A. doi:10.1103/PhysRev.121.1556. 
  17. Arnowitt, R. L.; Deser, Stanley; Misner, Charles (1961). “Coordinate invariance and energy expressions in general relativity”. 《Physical Review》 (영어) 122 (3): 997–1006. Bibcode:1961PhRv..122..997A. doi:10.1103/PhysRev.122.997. 
  • v
  • t
  • e
특수
상대론
배경
근본
개념
공식화
현상
시공간
일반
상대론
배경
  • 개론
  • 수학적 공식화(mathematical formulation)
근본
개념
공식화
현상
고급
이론
  • 전산 물리학에서: 수치적 상대성(numerical relativity)
과학자
분류 분류